카카오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전년 대비 12% 감소

카카오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1조8637억원, 영업이익은 12% 감소한 10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플랫폼 부문은 4% 성장했으나, 콘텐츠 부문이 16% 감소하며 전체 실적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카카오는 하반기 발견 영역 출시와 새로운 AI 서비스 ‘카나나’ 등을 통해 AI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반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1분기 실적

카카오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전년 대비 12% 감소

📊 카카오 1분기 실적 개요

카카오가 2025년 5월 8일,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연결 기준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1조8637억원, 영업이익은 12% 감소한 10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5.7%로 집계되었습니다.

올해 1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1조7583억원입니다. 전체적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세를 보인 이번 실적은 특히 콘텐츠 부문의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카카오의 현재 주가는 37,250원으로, 전일 대비 1,100원(-2.87%) 하락했습니다. 시가총액은 1조 7,839억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사업 부문별 실적 분석

카카오

플랫폼 부문: 성장세 유지

2025년 1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9,930억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플랫폼 부문은 톡비즈, 모빌리티, 페이 등을 포함하며, 카카오의 핵심 수익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톡비즈 매출 상승

톡비즈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5,53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톡비즈 광고 매출액은 2,8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으며, 특히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11% 늘었습니다. 5월 중 출시 예정인 ‘브랜드 메시지’ 상품을 통해 2분기부터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커머스 매출 증가

선물하기와 톡딜 등 톡비즈 커머스 매출액은 2,6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설 명절 인기 상품 직매입 운영과 수익성 높은 카카오쇼핑라이브 비중 확대가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1분기 통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2조6000억원을 기록했으며, 선물하기와 톡딜의 거래액은 각각 4%, 5% 성장했습니다.

모빌리티·페이 성장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3,656억원입니다. 모빌리티는 주차와 퀵서비스가 성장을 이어갔고, 페이는 전 영역에서 고성장을 이어가며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콘텐츠 부문: 뚜렷한 감소세

콘텐츠 부문의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8,70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체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뮤직 매출 감소

지난해와 전분기 아티스트 활동이 집중돼 기저효과가 발생한 탓에 뮤직 매출액은 4,37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 감소했습니다.

스토리·미디어 매출 하락

스토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2,126억원, 방송 광고 시장 둔화와 콘텐츠 투자 위축 영향으로 미디어 매출액은 21% 감소한 75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카카오의 성장 전략

카카오톡 슈퍼앱으로의 진화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콘텐츠 서비스와 소셜 기능을 강화해 ‘슈퍼앱’으로의 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용자의 체류시간을 확대하기 위해 하반기 중 카카오톡 세 번째 탭에 ‘발견 영역’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AI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카카오는 AI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신규 AI 서비스 ‘카나나’ 비공개베타테스트(CBT)를 시작으로, AI 메이트 쇼핑·로컬 등 특정 분야 서비스 AI 추천 및 생성형 검색, 오픈AI 공동 개발 프로덕트 등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정신아 대표는 “올해 카카오가 준비하고 있는 다양한 실험과 시도의 결과물을 순차적으로 선보이면서, AI가 카카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카카오의 최근 동향 및 전망

AI 기술 투자 확대

카카오는 AI 서비스를 통해 사람과 사람의 연결을 넘어, 사람과 AI를 연결하고자 하는 ‘서비스-드리븐 AI’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AI 요약하기’ 기능 등 이미 AI 관련 서비스가 공개 중이며, 10개 콘텐츠를 주제로 챗봇 POC(기술실증)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언어모델 ‘카나나’

카카오브레인은 다양한 파라미터의 자체 언어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카나나’라는 언어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 모델은 텍스트 기반으로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능력과 AI 이미지 편집, 언어 모델 기반 프롬프트 자동 생성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헬스케어 사업 확장

카카오헬스케어는 연속혈당측정기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혈당 관리 서비스인 ‘파스타’를 출시했습니다. 국내 출시 후 미국, 일본, 중동 등 글로벌 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주가 전망

카카오의 주가는 현재(2025년 5월 8일) 37,250원으로, 전일 대비 2.87% 하락했습니다. 향후 카카오의 주가는 AI 서비스 확장 및 콘텐츠 부문 반등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입니다.

💼 투자자를 위한 정보

주요 재무 지표

지표 수치
시가총액 1조 7,839억원
PER 25.38배
EPS(2024.12) 300.40원
PBR 1.61배
배당수익률(2023) 0.18%
현재주가 37,250원 (-2.87%)

주가 동향

카카오의 주가는 최근 1개월 동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2주 최고가 50,600원, 최저가 32,550원으로, 현재 주가는 52주 최고가 대비 약 26% 하락한 수준입니다.

경쟁사 비교

카카오와 네이버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네이버의 올해 연간 매출은 10조6323억원, 영업이익은 1조9609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9.9%, 3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카카오는 올해 매출 7조9536억원, 영업이익 5312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5.3%, 15.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카카오 시가총액

💡 카카오 서비스 혁신

카카오맵 기능 확대

카카오맵은 전국 주요 기차역 실내지도 서비스를 오픈하며 기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더욱 편리하게 기차여행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발자 지원 강화

카카오는 개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API와 도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통해 개발자들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카카오 메이커스 성장

카카오메이커스는 누적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카카오의 커머스 플랫폼이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신뢰를 얻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실적 비교 분석

전년 동기 대비 분석

2025년 1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6% 감소, 영업이익 12% 감소로,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콘텐츠 부문의 16% 매출 감소가 전체 실적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분기별 추이

최근 몇 분기 동안 카카오의 실적은 등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2023년 4분기에는 매출 2조1,711억 원, 영업이익 1,892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5년 1분기에는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부문별 성과 차이

플랫폼 부문은 4% 성장하며 견조한 모습을 보인 반면, 콘텐츠 부문은 16% 감소하며 부진했습니다. 특히 톡비즈 커머스가 12% 성장하며 플랫폼 부문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 더 자세한 카카오 주식 정보 확인하기





카카오 주식 정보 바로가기

카카오의 실시간 주가 및 상세 투자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카카오 1분기 실적 관련 Q&A

Q: 카카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어땠나요?

A: 카카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86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54억원으로 12%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5.7%를 기록했습니다.

Q: 어떤 사업 부문이 가장 좋은 성과를 보였나요?

A: 선물하기와 톡딜 등 톡비즈 커머스 부문이 가장 좋은 성과를 보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한 2,67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설 명절 인기 상품 직매입 운영과 카카오쇼핑라이브 비중 확대가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Q: 카카오의 향후 성장 전략은 무엇인가요?

A: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슈퍼앱’ 진화와 AI 기술 투자를 통한 성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카카오톡에 ‘발견 영역’을 출시하고, 신규 AI 서비스 ‘카나나’를 비롯한 다양한 AI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Q: 1분기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1분기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콘텐츠 부문의 매출 감소입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8,707억원을 기록했으며, 특히 미디어 매출이 21% 감소하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Q: 카카오의 AI 관련 투자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A: 카카오는 ‘서비스-드리븐 AI’ 전략 아래 다양한 AI 서비스를 개발 중입니다. 카카오톡 ‘AI 요약하기’ 기능을 이미 출시했고, 자체 언어모델 ‘카나나’를 개발했으며, AI 메이트, 생성형 검색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입니다.

📝 마무리 및 결론

카카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지만, 플랫폼 부문의 성장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입니다. 특히 톡비즈 커머스와 모빌리티, 페이 등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향후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콘텐츠 부문의 부진은 전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앞으로 이를 어떻게 극복할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는 AI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카카오톡의 슈퍼앱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정신아 대표가 강조한 것처럼, AI가 카카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여부가 앞으로 카카오의 실적과 주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카카오의 AI 전략 실행과 콘텐츠 부문의 회복 여부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카카오#1분기실적#AI전략#카나나#톡비즈#커머스#슈퍼앱#모빌리티#카카오페이#주식정보

Leave a Comment